후지야마 이치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후지야마 이치로는 일본의 가수이자 지휘자이며, 본명은 마스나가 다케오이다. 도쿄 음악학교(현 도쿄예술대학)를 수석으로 졸업하고, 클래식 음악 성악가로 활동하다가 대중가수로 데뷔하여 《술은 눈물인가 한숨인가》, 《언덕을 넘어서》, 《도쿄 랩소디》, 《푸른 산맥》, 《나가사키의 종》 등 수많은 히트곡을 불렀다. 그는 '정격 가수'로 불리며, 1973년부터 1979년까지 일본가수협회 회장을 역임했다. 1992년 국민영예상을 수상했으며, 1993년 82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지휘자 - 오자와 세이지
오자와 세이지는 만주국에서 태어나 사이토 히데오에게 지휘를 사사받고 여러 거장들을 거치며 보스턴 심포니 오케스트라 음악감독을 29년간 역임, 사이토 키넨 오케스트라를 설립하는 등 후학 양성에도 힘쓴 세계적인 일본인 지휘자였으나 2024년 심부전으로 별세했다. - 일본의 지휘자 - 오가 노리오
소니의 사장과 회장을 역임한 오가 노리오는 소니 브랜드 이미지 구축, CD 및 플레이스테이션 개발 주도 등 소니의 엔터테인먼트 사업 확장에 기여했으며, 음악가로서도 활발한 활동을 펼친 일본의 기업 경영자이자 음악가이다. - 국민영예상 수상자 - 다이호 고키
다이호 고키는 우크라이나인 아버지와 일본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나 21세에 최연소 요코즈나에 등극, 마쿠우치 32회 우승 및 45연승 등의 압도적인 기록을 세우며 "쇼와 시대의 다이요코즈나" 칭호를 얻고 국민영예상을 추서받은 전설적인 스모 선수이다. - 국민영예상 수상자 - 구로사와 아키라
구로사와 아키라는 권위 있는 미술상 수상 경력과 프롤레타리아 예술가 동맹 참여 이력을 가진 일본의 영화 감독으로, 다양한 장르의 걸작들을 통해 세계 영화사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독특한 시각적 연출과 휴머니즘, 유머가 돋보이는 작품들로 많은 감독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 도쿄 예술대학 동문 - 장수철 (음악가)
장수철은 숭실대학교와 중앙신학교 교수, 이화여자대학교 강사를 역임하고 선명회어린이합창단을 창단하여 세계 순회공연을 지휘했으며, 킹스 칼리지 명예음악박사 학위와 대한민국 문화포장을 받은 작곡가이자 지휘자이다. - 도쿄 예술대학 동문 - 권옥연
권옥연은 함경남도 함흥 출신의 서양화가로, 앵포르멜과 초현실주의의 영향을 받아 추상화를 그렸으며, 1948년 첫 개인전을 시작으로 청회색 톤의 작품을 선보이고 무의자박물관을 운영하다 2011년 작고했다.
후지야마 이치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마스나가 다케오 |
출생일 | 1911년 4월 8일 |
사망일 | 1993년 8월 21일 |
출생지 | 일본 도쿄부 도쿄시 니혼바시구 니혼바시카키가라초 (현 도쿄도 주오구 니혼바시카키가라초) |
별칭 | 핀짱 |
혈액형 | B형 |
학력 | 도쿄 음악학교 |
직업 | 가수 성악가 작곡가 편곡가 지휘자 |
활동 기간 | 1921년 - 1993년 |
장르 | 류코카, 클래식 음악 |
악기 | 피아노 오르간 바이올린 트럼펫 아코디언 드럼 |
레이블 | 빅터 테이치쿠 컬럼비아 일본방송협회 |
2. 생애
도쿄 음악학교 재학 시절, 후지야마 이치로는 성악 기술, 가창법, 음악 이론과 하이바리톤 음성을 바탕으로 테너로서 국민적 가수이자 유행 가수로 활동했다. 1930년대부터 1940년대에 걸쳐 《술은 눈물인가 한숨인가》, 《언덕을 넘어서》, 《도쿄 랩소디》, 《푸른 산맥》, 《나가사키의 종》 등을 불러 히트시켰다.[163] 이론과 악전에 충실히 노래하여 '정격 가수'로 불렸고,[163] 격조 높은 가창은 '해서의 노래'라는 평가를 받았다.[164]
1923년 간토 대지진으로 집안이 빚을 지게 되자,[3] 후지야마는 ''유행가'' 가수 "후지야마 이치로"로서 니폰 컬럼비아와 계약했다. 당시 학교에서는 ''유행가''를 부르는 것이 금지되어 있었기에,[4] 작곡가 고가 마사오를 만나 "캠프 고타"라는 곡으로 데뷔했다.[4] 후지야마와 고가는 《술은 눈물인가 한숨인가》를 녹음, 1931년에 발매하여 큰 인기를 얻었다. 이 곡은 100만 장 이상 판매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5]
1929년 4월, 도쿄 음악학교 예과 성악부(현 도쿄 예술대학 음악학부)에 입학했다. 당시 "가무음곡은 부녀자의 것"이라는 풍조 속에서 성악부 남학생은 후지야마뿐이었다. 입학 시험에서 "오페라 가수를 목표로 한다"고 답했다.[39] 세계 대공황 및 쇼와 공황의 영향으로 집안이 3만 8000엔의 빚을 지고 폐업했다.[42] 가계를 돕기 위해 악보 필사 아르바이트를 했으나,[43] 수입이 적어 레코드 녹음 일을 시작했다. 이는 교외 연주를 금지한 학칙 위반이었기에,[44] "후지야마 이치로"라는 변명을 사용했다.
1933년 학교 졸업 후 JVC와 계약, 나카야마 신페이 작곡의 《타오르는 오진카》, 하시모토 구니히코 작곡의 《안녕!》 등을 발표했다. 일본 대중가요 외에도 서양 대중가요를 불렀는데, 예를 들어 《당신의 손에 키스하겠어요, 부인》을 恋の花束|사랑의 꽃다발일본어이라는 제목으로 불렀다.[6] 이후 테이치쿠 레코드를 거쳐 컬럼비아로 이적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야마다 코사쿠 작곡의 《타오르는 창공》과 같은 군가도 불렀다. 전쟁 후 인도네시아에서 포로 생활을 하다 귀국, 핫토리 료이치와 고세키 유지가 작곡한 《푸른 산맥》, 《나가사키의 종》 등을 발표하며 인기를 이어갔다.
1954년 NHK로 이직하면서 일본 대중음악에서 은퇴했다.[7] 그러나 사망할 때까지 홍백가합전의 "반딧불의 빛" 지휘자로 알려졌다.[7] 그는 또한 일본 학교를 위해 다양한 교가를 작곡했다.[7] 1973년 4월부터 1979년 4월까지 일본 가수 협회 회장을 역임했다. 1992년에 국민영예상을 수상했고 이듬해인 1993년에 향년 82세의 일기로 사망했다. 마지막 미디어 출연은 1993년 8월 14일 NHK 종합에서 방송된 『제25회 추억의 멜로디』에서 『푸른 산맥』을 부른 것이었다.[126]
2. 1. 어린 시절과 학창 시절 (1911년 ~ 1929년)
후지야마 이치로(藤山 一郎)의 본명은 마스나가 다케오(増永 丈夫)이며, 1911년 4월 8일 도쿄부 도쿄시 니혼바시 구 니혼바시카키가라초(현재의 도쿄도 주오구 니혼바시카키가라초)에서 태어났다.[18][19] 아버지는 모슬린 도매상 오미야의 번두였고, 어머니는 가게 주인의 양녀였다.[18][19]어린 시절 후지야마는 경제적으로 풍족한 환경에서 자랐다. 어머니는 아이에게 피아노를 가르치는 교육 방침을 가지고 있었고, 후지야마도 어린 시절부터 피아노를 배웠다.[20] 유치원이 끝나면 친척 작곡가 야마다 겐이치로가 창립한 일본 여자 음악 학교에 다니며 찬송가를 부르거나 피아노 치는 법, 악보 읽는 법을 배웠다.[22][23][24]
1918년 봄, 게이오기주쿠 유치사에 입학하여 동급생 오카모토 타로와 함께 공부했다.[27] 이 시기 후지야마는 악보를 읽을 수 있게 되었고, 동요 공연에 출연하기도 했다. 그러나 게이오 유치사의 음악 교사 에자와 세이타로는 동요 가수는 대성하지 못한다는 생각에 후지야마에게 노래를 그만두고 악전, 악보 읽기, 피아노, 바이올린 수련에 전념할 것을 권유했다.[28][29][30]
1924년 봄, 게이오기주쿠 보통부에 진학한 후지야마는 히로타 류타로에게 피아노를 배우고 음악에 힘쓰는 한편, 럭비부에 들어가 운동에도 매진했다.[32][33] 1929년도 전국 중등 학교 축구 대회에서는 우승을 경험하기도 했다.[34]
1927년 게이오기주쿠 보통부 재학 중에는 게이오의 응원가 '젊은 피'의 노래 지도를 맡았다. 후지야마는 선배라도 노래를 못하는 사람에게는 엄하게 대했기 때문에, 소케이전이 끝난 후 5학년 선배들에게 협박당하고 맞기도 했다.[37]
1929년 4월, 후지야마는 게이오기주쿠 보통부를 졸업하고 도쿄 음악학교(현재의 도쿄 예술대학 음악학부) 성악과에 입학했다.[9] 당시에는 음악과 춤이 주로 여성을 위한 것이라는 사회적 경향이 강했기 때문에, 후지야마는 성악과에 입학한 유일한 남자 학생이었다.[9] 입학 시험 면접에서 후지야마는 오페라 가수가 되고 싶다고 대답했다.[9]
후지야마는 예비 성악 과정에서 30명 중 15위를 차지했고, 곧 본 과정에 들어갔다.[10] 1931년 2월, 학업 성적이 우수한 학생들을 위한 공연에서 파우스트와 리골레토의 노래를 불렀고, 바리톤 독창을 선보였다.[11]
성공적인 학생 생활에도 불구하고, 가족이 운영하던 무명 베일 도매상은 대공황의 영향으로 재정적 어려움을 겪었다.[12] 후지야마는 가족의 재정을 돕기 위해 음악 필사 아르바이트를 시작했고, 야마다 코사쿠를 위해 일하거나 음반 녹음을 했다. 그러나 이는 학교 규정 위반이었기 때문에 후지야마 이치로라는 예명을 사용하게 되었다.[13][14]
2. 2. 도쿄 음악학교 시절 (1929년 ~ 1933년)
1929년(쇼와 4년) 4월, 후지야마 이치로는 당시 일본에서 유일한 관립 음악 전문학교였던 도쿄음악학교 예과 성악부(후의 도쿄예술대학교 음악학부)에 입학했다. 당시에는 "가무음곡은 부녀자의 것"이라는 풍조가 강했고, 성악부에 입학한 학생 중 남성은 후지야마 단 한 명이었다. 입학 시험 구두 시험에서 음악의 길을 지망하는 이유에 대해 질문을 받은 후지야마는 "오페라 가수를 목표로 합니다"라고 대답했다.[39]예과 성악부에서 30명 중 15등의 성적을 거두고 본과에 진학했다.[40] 1931년(쇼와 6년) 2월에는 성적 우수자에 의한 연주회인 "학우 연주회"(토요 연주회라고도 함)에 출연하여, 오페라 『파우스트』에서 "이 손을 잡아요", 오페라 『리골레토』에서 "아름다운 아가씨여"의 사중창에 바리톤으로 독창[41]하는 등 순조로운 학생 생활을 보냈다. 하지만 음악학교 진학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세계 공황의 여파를 받은 쇼와 공황의 영향으로 실가의 모슬린 도매상의 경영이 기울어 38000JPY의 빚을 지고 폐업했다.[42]
가계를 돕기 위해 악보 필사 아르바이트[43]를 시작했지만 수입이 적어, 레코드 녹음 일을 시작하게 되었다. 이것은 교외 연주를 금지한 학칙 58조에 위반되는 행위였다.[44] 때문에 "후지야마 이치로"라는 변명을 사용하기로 했다. "후지야마 이치로"라는 예명은 친우였던 나가토 히데오의 이름에서 한자를 가져오고, 후지산의 한자를 조합하여 즉흥적으로 5분 만에 만든것이다.[45][46][47][48]
1931년부터 1932년에 걸쳐 약 40곡을 녹음했다.[49] 고가 마사오가 작곡하고 1931년 9월에 발매된 『술은 눈물인가 한숨인가』는 100만 장을 넘는 판매량을 기록하며 대표곡이 되었다. 시오자와 사네노부에 따르면, 당시 일본에 있던 축음기는 병합으로 일본령이었던 대만과 조선을 포함해 약 20만 대였고, "광란에 가까운 대히트"였다.[50] 이 곡의 녹음으로 후지야마는, 성량을 억제하고 아름다운 공명의 울림을 살려, 성악 기술을 정통으로 해석한 크룬 창법을 사용하고, 전기 녹음 시대의 마이크로폰의 특성을 효과적으로 살린 가창으로[51][52][53] 우울함과 모더니즘이 공존하는 세상을 반영하려는 고가의 의도를 실현시켰다.[54] 같은 1931년에 발매된 고가 작곡의 『언덕을 넘어』도 히트했다. 『언덕을 넘어』는 크룬 창법이 아닌, "마이크에서 상당한 거리를 두고, 강약을 넣어서, 어디까지나 깨끗하게, 음량을 떨어뜨리지 않고, 게다가 넘치지 않도록 노래하는" 가창 표현으로, 고가 멜로디의 청춘을 드높이 노래하고 있다. 『언덕을 넘어』의 히트로 후지야마와 고가는 스타덤에 올랐다.[55]
노래의 히트와 동시에 후지야마 이치로라는 가수에 대한 주목이 세상에서 높아져, 세간의 관심이 모이게 되었다. 후지야마는 학교 관계자에게 노래를 들키고 정체가 발각될 것을 두려워해, 아르바이트료가 매출과 관계없이 1곡당 15엔으로 정해져 있었기 때문에 레코드가 팔리지 않기를 바랐다. 고가와 관계가 깊었던 메이지 대학만돌린 클럽의 정기 연주회에 게스트 출연한 후지야마는 무대 뒤에서 모습을 숨기고 노래했고, 관객이 불만을 호소하는 소동이 벌어지기도 했다. 그러던 중, 도쿄음악학교 앞으로 "후지야마 이치로란 귀교의 마스나가 타케오이다"라는 내용의 투서가 도착했고, 학교 당국은 후지야마를 추궁했다. 후지야마는 "선생님은 작곡을 하는 등 학교 밖에서 돈을 벌고 있는데, 학생이 학비를 위해 부업하는 것을 나무라는 것은 불공평하다"고 반발했기 때문에 자칫하면 퇴학 처분이라는 상황이 되었다. 그러나 하이 바리톤 성악가로서 후지야마를 평가하고 있던 클라우스 프링스하임이 퇴학에 반대하고, 게이오기주쿠 보통부 시절부터 후지야마를 잘 아는 히로타 류타로·오쓰카 아쓰시·야나다 사다도 학업 성적이 우수하고 아르바이트로 얻은 수입을 모두 어머니에게 전달하고 있다는 것을 이유로 옹호에 나선 결과, 앞으로의 레코드 녹음 금지와 정학 1개월의 처분으로 결정되었다. 게다가, 그 1개월은 학교의 겨울 방학에 해당하여, 실질적인 처분은 내려지지 않았다. 이때, 후지야마는 아직 녹음을 하지 않았던 『그림자를 사모하며』를 이미 녹음했었다고 학교에 리스트를 제출하고, 발행을 가능하게 했다. 정학이 해제되자 후지야마는 레코드 녹음을 멈추고, 학업에 전념했다.[56][57]
1932년(쇼와 7년) 당시, 도쿄음악학교는 "풍기"를 이유로 무대 상연 오페라를 금지했지만, 도쿄음악학교 주악당에서 예외로 무대 상연된 학교 오페라 『데어 야저가''Der Jasager''(예스맨)』(쿠르트 바일 작곡)에서, 후지야마는 주역인 소년 역을 연기하고, 히비야 공회당에서 프링스하임의 지휘로 상연된 바그너의 오페라 『로엔그린』에서는 솔리스트를 맡고 있다. 헤르만 부하페니히, 마리아 토르 등 외국인 가수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바리톤 독창으로, 기대의 호프로 주목받았다.[59]
1933년(쇼와 8년) 3월, 후지야마는 도쿄 음악학교를 수석으로 졸업했다. 『주간 음악 신문』은 졸업 연주에서의 "오페라 『광대』의 아리아", "오페라 『』에서"의 독창을 다루며, 도쿄 음악학교 시작 이래의 성악가가 될 것이라고 평했다.[60]
2. 3. 가수 활동 (1933년 ~ 1954년)
도쿄 음악학교 재학 중이던 후지야마 이치로는 성악 기술, 가창법, 음악 이론과 하이바리톤 음성을 바탕으로 테너로서 국민적 가수이자 유행 가수로 활동했다. 1930년대부터 1940년대에 걸쳐 《술은 눈물인가 한숨인가》, 《언덕을 넘어서》, 《도쿄 랩소디》, 《푸른 산맥》, 《나가사키의 종》 등을 불러 히트시켰다.[163] 이론과 악전에 충실히 노래하여 '정격 가수'로 불렸고,[163] 격조 높은 가창은 '해서의 노래'라는 평가를 받았다.[164]1923년 간토 대지진으로 집안이 빚을 지게 되자,[3] 후지야마는 유행가 가수 "후지야마 이치로"로서 니폰 컬럼비아와 계약했다. 당시 학교에서는 유행가를 부르는 것이 금지되어 있었기에,[4] 작곡가 고가 마사오를 만나 "캠프 고타"라는 곡으로 데뷔했다.[4] 후지야마와 고가는 《술은 눈물인가 한숨인가》를 녹음, 1931년에 발매하여 큰 인기를 얻었다. 이 곡은 100만 장 이상 판매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5]
후지야마는 일본의 스타가 되었지만, 학교의 반발로 음악 활동을 중단해야 했다. 1933년 학교 졸업 후 JVC와 계약, 나카야마 신페이 작곡의 《타오르는 오진카》, 하시모토 구니히코 작곡의 《안녕!》 등을 발표했다. 일본 대중가요 외에도 서양 대중가요를 불렀는데, 예를 들어 《당신의 손에 키스하겠어요, 부인》을 恋の花束|사랑의 꽃다발일본어이라는 제목으로 불렀다.[6]
이후 테이치쿠 레코드를 거쳐 컬럼비아로 이적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야마다 코사쿠 작곡의 《타오르는 창공》과 같은 군가도 불렀다. 전쟁 후 인도네시아에서 포로 생활을 하다 귀국, 핫토리 료이치와 고세키 유지가 작곡한 《푸른 산맥》, 《나가사키의 종》 등을 발표하며 인기를 이어갔다.
1931년부터 1932년까지 약 40곡을 녹음했으며,[49] 대표곡은 고가 마사오 작곡의 《술은 눈물인가 한숨인가》로, 100만 장 이상 판매되었다. 당시 일본과 병합된 조선과 대만을 포함하여 축음기가 약 20만 대였던 점을 고려하면, "광란에 가까운 대히트"였다.[50] 후지야마는 성량을 억제하고 공명을 살린 크룬 창법을 사용, 전기 녹음 시대 마이크의 특성을 효과적으로 살린 가창을 선보였다.[51][52][53] 1931년 발매된 고가 작곡의 《언덕을 넘어서》 역시 인기를 얻었다.
1929년 4월, 도쿄음악학교 예과 성악부(현 도쿄 예술대학 음악학부)에 입학했다. 당시 "가무음곡은 부녀자의 것"이라는 풍조 속에서 성악부 남학생은 후지야마뿐이었다. 입학 시험에서 "오페라 가수를 목표로 한다"고 답했다.[39]
예과 성악부에서 30명 중 15등으로 본과에 진학,[40] 1931년 2월에는 '학우 연주회'에 출연하여 오페라 《파우스트》, 《리골레토》의 사중창에 바리톤으로 독창했다.[41] 그러나 세계 대공황 및 쇼와 공황의 영향으로 집안이 3만 8000엔의 빚을 지고 폐업했다.[42]
가계를 돕기 위해 악보 필사 아르바이트를 했으나,[43] 수입이 적어 레코드 녹음 일을 시작했다. 이는 교외 연주를 금지한 학칙 위반이었기에,[44] "후지야마 이치로"라는 변명을 사용했다. 이 변명은 불과 5분 만에 만들어졌다.[45][46][47][48]
노래의 인기와 함께 후지야마 이치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자, 정체가 발각될 것을 두려워했다. 메이지 대학 만돌린 클럽 정기 연주회에 게스트로 출연했을 때는 무대 뒤에서 모습을 숨기고 노래해 관객이 불만을 제기하는 소동이 벌어지기도 했다. 도쿄음악학교 앞으로 투서가 도착, 학교 당국은 후지야마를 추궁했다. "선생님은 작곡 등으로 돈을 버는데, 학생이 학비를 위해 부업하는 것을 나무라는 것은 불공평하다"고 반발, 퇴학 위기에 처했다. 그러나 클라우스 프링스하임이 퇴학에 반대하고, 히로타 류타로, 오쓰카 아쓰시, 야나다 사다 등이 옹호하여, 레코드 녹음 금지와 정학 1개월 처분으로 마무리되었다. 겨울 방학 기간이라 실질적인 처분은 없었다. 후지야마는 녹음하지 않았던 《그림자를 사모하며》를 이미 녹음했다고 학교에 제출, 발행을 가능하게 했다. 정학 해제 후 학업에 전념했다.[56][57]
1932년, 도쿄음악학교는 무대 상연 오페라를 금지했지만, 도쿄음악학교 주악당에서 예외적으로 상연된 오페라 《데어 야저가''(Der Jasager)''》에서 주역인 소년 역을 연기했다. 히비야 공회당에서 상연된 바그너의 오페라 《로엔그린》에서는 솔리스트를 맡았다. 헤르만 부하페니히, 마리아 토르 등과 함께 바리톤 독창을 맡아, 기대의 호프로 주목받았다.[59]
1933년 3월, 도쿄 음악학교를 수석 졸업했다. 졸업 연주에서 오페라 《광대》, 《밀렵꾼》의 아리아 독창을 선보여, 도쿄 음악학교 시작 이래의 성악가가 될 것이라는 평가를 받았다.[60] 졸업 직후 빅터에 입사, 전속 가수가 되었다. 빅터는 전년 봄부터 후지야마에게 매월 100JPY의 학비 원조를 했다.[61][62] 《술은 눈물인가 한숨인가》 등이 콜롬비아에서 발매되었기에 콜롬비아 입사도 고려했지만, 월급제를 거절당해 빅터 입사를 결정했다.[61]
입사 2년 차까지 도쿄 음악학교 연구과생으로 재적하며 부하페니히의 지도를 받았다.[65][66] 1933년 4월 요미우리 신문사 주최 신인 연주회, 6월 18일 도쿄 음악학교 정기 연주회에 출연했다. 다양한 장르의 노래를 불렀는데, 1933년 10월 "후지야마 이치로 · 마스나가 다케오의 모임"을 개최, 후지야마 이치로로서 재즈와 유행가를, 마스나가 다케오로서 클래식을 불렀다.[67] 유행가 외에 클래식(바그너, 슈만)과 재즈 레코드도 냈다.[68]
빅터 시대에는 《타오르는 불꽃》(판매량 187500장), 《나의 청춘》(판매량 100500장)[69] 등이 히트했지만, 코가 멜로디만큼의 대히트는 없었다. 후지야마는 이 시기를 "나설 차례는 없었다", "프로 가수의 벽은 두터웠다"고 회상했다.[70][71]
빅터와의 계약 기간 만료 후, 고가 마사오의 권유로 테이치쿠로 이적했다. 당시 내각총리대신의 월급이 800JPY이던 시절, 계약금은 10000JPY였다.[74][75][76]
1936년, 고가 작곡의 《도쿄 랩소디》가 350000장 판매되며 히트, 후지야마는 B면 《도쿄 아가씨》와 합쳐 21000JPY의 음반 저작권료를 받아 빚을 청산했다. PCL에서 《도쿄 랩소디》를 주제가로 한 영화를 제작, 후지야마가 주연했다. 1936년 발매된 《남자의 순정》, 이듬해 《푸른 양복으로》, 《청춘 일기》도 히트했다.[77]
1937년 루거우차오 사건으로 중일 전쟁이 발발, 정부는 음악 업계에 전의 고취 곡 발매를 장려하고 유머, 연애, 감상을 주제로 한 노래 발매를 금지했다. 테이치쿠는 이 방침에 따라 후지야마에게 《충렬! 야마토 혼》, 《국가 총동원》, 《눈의 진군》, 《애국 행진곡》 등 전의 고취 곡을 녹음하게 했다.[79]
테이치쿠 시대 후지야마 이치로의 인기는 대단하여, 폴리돌의 도카이린 타로와 함께 "단국 시대"를 형성했다.[80] 테너 가수로 팝송에 중점을 둔 것에 대해, 음악 평론가 우에야마 게이조는 "클래식으로 돌아가라"고 제언했다.[81]
1941년 대동아 전쟁 (태평양 전쟁)이 발발, 요미우리 신문사가 해군 요청으로 남방 위문단을 결성하자 후지야마는 이에 참가했다. "조국에 도움이 되고 싶다"는 마음과 유럽 문화를 접하고 싶다는 생각으로 합류했다.[88]
1943년 2월, 위문단은 구 네덜란드령 보르네오, 자바 방면 해군 장병 위문을 위해 요코하마항을 출발했다. 가오슝항에서 적 잠수함의 어뢰 공격을 받아 전황이 긴박함을 알게 되었다.[89][90] 후지야마는 당시 전황을 정확히 파악했다면 남방 위문에 가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91]
3월에 보르네오섬 (칼리만탄섬) 발릭파판에 도착, 보르네오섬, 술라웨시섬, 티모르섬 등 주변을 위문했다. 자신의 노래와 군가 외에 현지 민요[92]를 불렀다. 해군 장교가 만든 가사에 곡을 붙여 노래하기도 했다(《사마린다 소곡》). 7월 예정된 위문을 마치고 귀국했다.[93][94]
귀국 후 해군으로부터 다시 남방 위문 요청을 받고, 11월 술라웨시섬으로 출발했다. 월급 1800JPY의 해군 촉탁(주임관 5등·소령 대우[95])으로 파견되었다.[96][97]
후지야마의 위문단은 술라웨시섬, 보르네오섬, 소순다 열도의 발리섬, 롬복섬, 섬바와섬, 플로레스섬, 섬바섬, 티모르섬 등을 돌았다. 섬바섬은 최전선 섬으로, 위문 방문한 연예인은 후지야마가 유일했다. 소순다 열도 위문 시 경장으로 부임하라는 요청에, 애용하던 아코디언을 술라웨시섬에 둔 채 출발했지만, 패전을 맞아 포기했다. 이후 자바섬 수라바야에서 구입한 독일제 아코디언을 애용했다.[98][99]
2. 4. NHK 전속 가수 및 지휘자 활동 (1954년 ~ 1993년)
후지야마 이치로는 1954년 NHK로 이직하면서 일본 대중음악에서 은퇴했다.[7] 그러나 사망할 때까지 홍백가합전의 "반딧불의 빛" 지휘자로 알려졌다.[7] 그는 또한 일본 학교를 위해 다양한 교가를 작곡했다.[7] 1989년, 쇼와 천황이 사망했을 때 그의 노래 "푸른 산맥"은 예상치 않게 쇼와 시대의 NHK 일본 기념 노래 200곡 랭킹에서 1위를 차지했다.[7]1993년 8월 14일 (토요일) 19:30부터 21:30까지 NHK 종합에서 방송된 『제25회 추억의 멜로디』에서 『푸른 산맥』을 부른 것이 마지막 미디어 출연이었다.[126]
3. 주요 활동
도쿄 음악학교(현재의 도쿄 예술대학 음악학부) 재학 시절부터 성악 기술, 가창법, 음악 이론에 능통했으며, 하이바리톤 음성을 바탕으로 테너로서 국민적 가수이자 유행 가수로 활약했다. 1930년대부터 1940년대에 걸쳐 《술은 눈물인가 한숨인가》, 《언덕을 넘어서》, 《도쿄 랩소디》, 《푸른 산맥》, 《나가사키의 종》 등을 불러 히트시켰다. 이론과 악전에 충실히 노래하여 '정격 가수'로 불렸으며,[163] 그 격조 높은 가성은 '해서의 노래'라는 평가를 받았다.[164]
1923년 간토 대지진으로 집안이 빚을 지게 되자,[3] 유행가 가수 "후지야마 이치로"로서 니폰 컬럼비아와 계약했다. 고가 마사오와 함께 작업한 "술은 눈물인가 한숨인가"는 1931년에 발매되어 100만 장 이상 팔리는 큰 성공을 거두었다.[5] JVC와 계약하여 "타오르는 오진카", "안녕!(Cheerio!)" 등을 발표했고, 테이치쿠 레코드를 거쳐 컬럼비아로 복귀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군가를 부르기도 했으나, 종전 후 인도네시아에서 포로 생활을 했다. 일본 귀국 후에는 《푸른 산맥》, 《나가사키의 종》 등을 발표하며 다시 인기를 얻었다. 1941년 대동아 전쟁 발발 후, 요미우리 신문사가 해군의 요청으로 결성한 남방 위문단에 참가했다.[88] 유럽 문화에 대한 동경과 조국에 대한 봉사 정신으로 위문에 참여했으며,[88] 1943년부터 종전까지 보르네오섬, 술라웨시섬, 소순다 열도 등지에서 위문 활동을 펼쳤다.[96][97]
1954년 NHK로 이직하며 대중음악에서 은퇴했지만, 홍백가합전의 "반딧불의 빛" 지휘자로 활동하며 대중에게 알려졌다. 쇼와 천황 사망 후 "푸른 산맥"은 NHK 기념 노래 랭킹 1위에 오르기도 했다.[7]
3. 1. 음반
발매년도 | 곡명 | 비고 |
---|---|---|
1931 | キャンプ小唄|캠프 코우타일본어 | |
1931 | 酒は涙か溜息か|술은 눈물인가 한숨인가일본어 | |
1931 | 丘を越えて|언덕을 넘어서일본어 | |
1932 | 影を慕いて|그림자를 그리워하며일본어 | 사토 치야코의 노래를 커버 |
1933 | 僕の青春|나의 청춘일본어 | |
1933 | 燃える御神火|타오르는 신성한 불일본어 | |
1934 | Cheerio! | |
1934 | 蒼い月|푸른 달일본어 | "창백한 달"의 그의 버전 |
1935 | 恋の花束|사랑의 꽃다발일본어 | "I Kiss Your Hand, Madame"의 그의 버전 |
1936 | 東京ラプソディー|도쿄 랩소디일본어 | |
1937 | 愛国行進曲|애국 행진곡일본어 | |
1939 | 上海夜曲|상하이 야곡일본어 | |
1939 | 懐かしのボレロ|그리운 볼레로일본어 | |
1940 | なつかしの歌声|그리운 노랫소리일본어 | |
1940 | 紀元二千六百年|기원 2600년일본어 | 1940년의 국민 축제, "진무 천황으로부터 2600주년 축복" |
1940 | 空の勇士|하늘의 용사일본어 | 할힌골 전투 |
1940 | 燃ゆる大空|타오르는 대공일본어 | 일본 제국 육군 항공대 |
1940 | 興亜行進曲|동아시아 번영 행진곡일본어 | ![]() |
1941 | 出せ一億の底力|1억 인민의 잠재력 발휘일본어 | |
1941 | 海の進軍|바다의 원정일본어 | |
1942 | 大東亜決戦の歌|대동아 결전의 노래일본어 | 대동아 전쟁의 노래 |
1943 | 決戦の大空へ|결전의 대공으로일본어 | |
1946 | 銀座セレナーデ|긴자 세레나데일본어 | |
1947 | 夢淡き東京|꿈결 같은 도쿄일본어 | |
1947 | 浅草の唄|아사쿠사의 노래일본어 | |
1949 | 青い山脈|푸른 산맥일본어 | |
1949 | 長崎の鐘|나가사키의 종일본어 | |
1950 | 山のかなたに|산 너머에일본어 | |
1951 | ニコライの鐘|니콜라이의 종일본어 | 성 니콜라이 대성당 |
1952 | 丘は花ざかり|언덕은 꽃이 만발하다일본어 | |
1956 | ラジオ体操の歌|라디오 체조의 노래일본어 | 작곡가로서 |
3. 2. 방송
- NHK 라디오 프로그램 '음악 보물상자' (1946년 8월 4일) 출연[102]
- 라디오 가요 '초승달 아가씨', '음악 5인방'의 주제가 '꿈 옅은 도쿄', 일본 가곡 '백조의 노래' 등을 히트시킴[104]
- 제1회 NHK 홍백가합전 (1951년 1월 3일) 백조 팀 캡틴 및 대트리로 출전, '나가사키의 종' 가창[105][106]
- NHK 홍백가합전 총 11회 출전[107]
- '그리운 노랫소리' (TV 도쿄)
- '빅 쇼' (NHK 종합)
- '이 사람 ○○ 쇼' (NHK 종합)
- '유쾌한 동료' - 모리시게 히사야와 공동 출연 (1950년 - 1952년, NHK 라디오 제1)[149][150]
연도/방송 회 | 방송일 | 회장 | 횟수 | 곡목 | 출연 순서 | 상대 | 비고 |
---|---|---|---|---|---|---|---|
1951년(쇼와 26년)/제1회 | 1월 3일 | NHK 도쿄 방송회관 제1스튜디오 | 처음 | 나가사키의 종 | 7/7 | 와타나베 하마코 | 대트리 |
1952년(쇼와 27년)/제2회 | 2 | 올림픽의 노래 | 12/12 | 와타나베 하마코(2) | 트리(2)[152] | ||
1953년(쇼와 28년)/제3회 | 1월 2일 | 3 | 도쿄 랩소디 | 11/12[153] | 츠키오카 유메지 | 트리 전 | |
1953년(쇼와 28년)/제4회 | 12월 31일 | 니혼 극장 | 4 | 언덕은 꽃이 만발 | 17/17 | 아와야 노리코 | 트리(3) |
1954년(쇼와 29년)/제5회 | 히비야 공회당 | 5 | 켄터키의 우리집 | 05/15 | 마츠다 토시 | ||
1955년(쇼와 30년)/제6회 | 산케이 홀 | 6 | 니콜라이의 종 | 16/16 | 후타바 아키코 | 트리(4) | |
1956년(쇼와 31년)/제7회 | 도쿄 다카라즈카 극장 | 7 | 아아 목장은 초록 | 10/25 | 후타바 아키코(2) | ||
1957년(쇼와 32년)/제8회 | 8 | 붕가완 솔로 | 18/25 | 와타나베 하마코(3) | |||
1964년(쇼와 39년)/제15회 | 9 | 나가사키의 종(2번째) | 04/25 | 와타나베 하마코(4) | 7년 만의 출연 | ||
1973년(쇼와 48년)/제24회 | NHK 홀 | - | 나가사키의 종(3번째) | - | (와타나베 하마코) | 9년 만의 출연・특별 출연 | |
1979년(쇼와 54년)/제30회 | - | 후지야마 이치로 메모리얼 메들리[154] | - | (미소라 히바리) | 6년 만의 출연・특별 출연 | ||
1989년(헤이세이 원년)/제40회 | 10[155] | 푸른 산맥(2번째) | 7/7(제1부) | (미야코 하루미) | 가수로서의 출연은 생애 마지막[156] |
- 후지야마는 홍백 역사상 마지막 메이지 시대 출생 출연 가수이다.
3. 3. 사회 활동
후지야마 이치로는 게이오기주쿠 재학 시절 후쿠자와 유키치가 강조한 봉사 정신에 영향을 받아 1950년대 중반부터 여러 사회 활동을 시작했다.[130]보이스카우트 정신에 공감하여 보이스카우트 일본 연맹에 참여했다.[130] 1971년 시즈오카현 후지노미야시에서 열린 제13회 세계 잼버리에서는 테마송 '밝은 길'을 작곡했다. 1988년에는 스카우트 송 녹음에 참여하여 연맹가 '꽃은 향기로워요' 등 7곡을 불렀다. 1992년에는 오랜 공적을 인정받아 연맹으로부터 최고 공로장인 '꿩장'을 수여받았다. 장례식에서는 보이스카우트 블레이저와 꿩장을 착용한 사진이 영정 사진으로 사용되었다.
1958년 6월, 로터리 클럽(도쿄 서부 로터리 클럽)에 가입하여[130] 정기 모임에 꾸준히 참석했다. 1993년 8월 19일 사망 전날에도 휠체어를 타고 출석할 정도로 열성적으로 활동했다. 1986년부터 1987년까지 도쿄 서부 로터리 클럽 회장을 역임했으며, 『도쿄 서부 로터리 클럽의 노래』를 작곡하고 회원들에게 노래 지도를 하기도 했다.
4. 수상 경력
연도 | 수상 내용 |
---|---|
1952년 | 일본 적십자사 특별 공로상 |
1958년 | NHK 방송 문화상 |
1959년 | 사회 교육 공로상 |
1973년 | 자수포장 |
1974년 | 일본 레코드 대상 특별상 |
1982년 | 서보장 3등, 금색 방사선이 있는 목 리본 |
1992년 | 일본 스카우트 협회 황금 꿩상[15] |
1992년 | 국민영예상 |
1993년 | 훈4등 (추서) |
5. 대표곡
제목 | 발매년도 | 비고 |
---|---|---|
キャンプ小唄|캠프 코우타일본어 | 1931년 | |
酒は涙か溜息か|술은 눈물인가 한숨인가일본어 | 1931년 | |
丘を越えて|언덕을 넘어서일본어 | 1931년 | |
影を慕いて|그림자를 그리워하며일본어 | 1932년 | 사토 치야코의 노래를 커버 |
僕の青春|나의 청춘일본어 | 1933년 | |
燃える御神火|타오르는 신성한 불일본어 | 1933년 | |
Cheerio! | 1934년 | |
蒼い月|푸른 달일본어 | 1934년 | Pale Moon|창백한 달영어의 번안곡 |
恋の花束|사랑의 꽃다발일본어 | 1935년 | Ich küsse Ihre Hand, Madame|당신의 손에 키스하겠어요, 부인de의 번안곡 |
東京ラプソディー|도쿄 랩소디일본어 | 1936년 | |
愛国行進曲|애국 행진곡일본어 | 1937년 | |
上海夜曲|상하이 야곡일본어 | 1939년 | |
懐かしのボレロ|그리운 볼레로일본어 | 1939년 | |
なつかしの歌声|그리운 노랫소리일본어 | 1940년 | |
紀元二千六百年|기원 2600년일본어 | 1940년 | 진무 천황 즉위 2600주년 기념 |
空の勇士|하늘의 용사일본어 | 1940년 | 할힌골 전투 |
燃ゆる大空|타오르는 대공일본어 | 1940년 | 일본 제국 육군 항공대 |
興亜行進曲|동아시아 번영 행진곡일본어 | 1940년 | |
出せ一億の底力|1억 인민의 잠재력 발휘일본어 | 1941년 | |
海の進軍|바다의 진군일본어 | 1941년 | |
大東亜決戦の歌|대동아 결전의 노래일본어 | 1942년 | 대동아 전쟁 |
決戦の大空へ|결전의 대공으로일본어 | 1943년 | |
銀座セレナーデ|긴자 세레나데일본어 | 1946년 | |
夢淡き東京|꿈결 같은 도쿄일본어 | 1947년 | |
浅草の唄|아사쿠사의 노래일본어 | 1947년 | |
青い山脈|푸른 산맥일본어 | 1949년 | |
長崎の鐘일본어 | 1949년 | |
山のかなたに|산 너머에일본어 | 1950년 | |
ニコライの鐘|니콜라이의 종일본어 | 1951년 | 성 니콜라이 대성당 |
丘は花ざかり|언덕은 꽃이 만발하다일본어 | 1952년 | |
ラジオ体操の歌|라디오 체조의 노래일본어 | 1956년 | (작곡) |
6. 평가 및 영향
도쿄 음악학교 재학 시절 하이바리톤 음성을 가진 테너로서 국민적 가수이자 유행 가수로 활약했다. 1930년대부터 1940년대에 걸쳐 《술은 눈물인가 한숨인가》, 《언덕을 넘어서》, 《도쿄 랩소디》, 《푸른 산맥》, 《나가사키의 종》 등을 히트시켰다. 1973년 4월부터 1979년 4월까지 일본 가수 협회 회장을 역임했다.
1992년 국민영예상을 수상했고, 이듬해인 1993년 82세의 나이로 사망하여 종사위에 추서되었다.
유품은 유족이 NHK와 사이타마현요노시에 기증했다. NHK 방송 박물관의 「후지야마 이치로 작곡 룸」, 사이타마 시립 요노 도서관, 사이타마 시 요노 향토 자료관에 유품 일부가 전시되어 있다.
시즈오카현 후지 영원에 있는 묘비에는 후지산 그림, 한자 「一」, 히라가나 「ろ」를 조합해 「후지야마 이치로」로 읽을 수 있도록 새겨져 있으며,[128] 그가 작곡한 『라디오 체조의 노래』 악보(2마디)와 가사도 함께 새겨져 있다.[129]
6. 1. 음악적 평가
후지야마 이치로는 도쿄 음악학교(현재의 도쿄 예술대학 음악학부)를 수석으로 졸업하고, 성악 기술, 가창법, 음악 이론에 능통했으며, 하이바리톤 음성을 지녔다.[163] 이론과 악전에 충실하게 노래하여 '정격 가수'로 불렸고,[163] 격조 높은 가성으로 인해 '해서의 노래'라는 평가를 받았다.[164]고가 마사오가 작곡한 술은 눈물인가 한숨인가를 녹음할 때, 후지야마는 성량을 억제하고 아름다운 공명의 울림을 살려 성악 기술을 정통으로 해석한 크룬 창법을 사용했다. 마이크로폰의 특성을 효과적으로 살린 가창으로[51][52][53] 우울함과 모더니즘이 공존하는 세상을 반영하려는 고가의 의도를 실현시켰다.[54] 언덕을 넘어에서는 크룬 창법이 아닌, "마이크에서 상당한 거리를 두고, 강약을 넣어서, 어디까지나 깨끗하게, 음량을 떨어뜨리지 않고, 게다가 넘치지 않도록 노래하는" 가창 표현을 사용했다.[55]
후지야마는 프로 가수가 중요하게 생각해야 할 점은 정식으로 성악을 배우고 기본적인 발성을 습득하며, 기본에 충실하고 확실한 발성으로 가사를 명료하게 부르는 것이며, 기교는 그 다음 문제라고 언급했다.[143][16]
이토 히사오, 오미 토시로 등 후배 가수들을 "그냥 크룬할 뿐만 아니라, 싱도 할 수 있는 양손잡이"라고 평가했다.[144] 싱어송라이터 야노 아키코가 NHK 경음악 오디션에서 언덕을 넘어를 부르자, "피아노를 치면서 노래하는 것은 아무나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라며 칭찬하고, "젊음은 도전이다. 부딪쳐서 새로운 형태를 만들어라"라고 조언했다.[145]
일본어 발음에 엄격했던 일화로, 가네다이치 하루히코는 NHK 홍백가합전에서 반딧불이의 빛 지휘를 맡은 후지야마가 노래 시작 부분을 스스로는 결코 목소리를 내어 부르려고 하지 않았다고 언급했다.[139] 음이름을 이탈리아식으로 발음할 때도 엄밀하게 발음을 구별했다.[141]
6. 2. 사회적 영향
후지야마 이치로는 게이오기주쿠 재학 중 후쿠자와 유키치가 설파한 봉사의 정신에 영향을 받아 1950년대 중반부터 다양한 사회 활동을 시작했다.[130]참조
[1]
웹사이트
http://www.news.janj[...]
JANJAN
2006-09-14
[2]
웹사이트
Middle 2nd Floor Guide
http://www.nhk.or.jp[...]
NHK
[3]
웹사이트
April 8: Birthdate of Ichiro Fujiyama
http://www.yamaha.co[...]
Yamaha
[4]
웹사이트
http://kitagawarecor[...]
Kitagawa-Record
2004-12
[5]
웹사이트
Songs and War. 16
http://www.sakuramo.[...]
Kūseki Tsūshin
2003-10-21
[6]
웹사이트
Florida Tango
https://www.shop.kot[...]
Kotenha.com
[7]
웹사이트
http://www.news.janj[...]
JANJAN
2006-12-14
[8]
웹사이트
http://www.nikkanspo[...]
Nikkan Sports
2009-12-31
[9]
문서
池井1997
[10]
문서
池井1997
[11]
서적
東京藝術大学百演奏会編
[12]
문서
私の履歴書
[13]
문서
池井1997
[14]
문서
藤山1986
[15]
웹사이트
http://reinanzaka-sc[...]
2014-05-23
[16]
웹사이트
演歌、歌謡曲と西洋音楽
http://www.toshiba.c[...]
東芝
[17]
문서
斎藤1996
[18]
문서
池井1997
[19]
문서
私の履歴書
[20]
문서
池井1997
[21]
문서
(정보 없음)
[22]
문서
池井1997
[23]
문서
私の履歴書
[24]
문서
藤山1986
[25]
문서
池井1997
[26]
문서
藤山1986
[27]
웹사이트
慶應義塾機関紙『三田評論「立ち読み 慶應義塾史跡めぐり 第57回』
https://www.keio-up.[...]
慶應義塾大学出版会
[28]
문서
池井1997
[29]
문서
藤山1986
[30]
문서
私の履歴書
[31]
문서
池井1997
[32]
문서
(정보 없음)
[33]
문서
(정보 없음)
[34]
문서
(정보 없음)
[35]
문서
池井1997
[36]
서적
藤山1986
[37]
서적
菊池1996
[38]
서적
池井1997
[39]
서적
池井1997
[40]
서적
池井1997
[41]
서적
東京藝術大学百演奏会編
[42]
서적
私の履歴書
[43]
문서
山田耕筰の自宅
[44]
문서
佐藤千夜子の退学
[45]
문서
필명 목록
[46]
문서
예명 고려
[47]
서적
池井1997
[48]
서적
藤山1986
[49]
서적
藤山1986
[50]
서적
塩沢1991
[51]
서적
菊池1996
[52]
서적
菊池2008
[53]
간행물
SPレコード歌謡産業発達史
メディア史研究会
2003
[54]
서적
池井1997
[55]
서적
藤山1985
[56]
서적
池井1997
[57]
서적
藤山1986
[58]
웹사이트
乘杉嘉壽校長時代の東京音楽学校昭和3年~20年
http://www.lib.geida[...]
2009-03
[59]
서적
東京芸術大学百年史
[60]
뉴스
週刊音楽新聞
1933-03-26
[61]
서적
池井1997
[62]
서적
藤山1986
[63]
서적
菊池1996
[64]
서적
塩沢1991
[65]
서적
池井1997
[66]
서적
藤山1986
[67]
서적
菊池1996
[68]
서적
池井1997
[69]
문서
売上実数ヨリ見タル流行歌「レコード」の変遷ヨリ
1938-02
[70]
서적
私の履歴書
[71]
서적
藤山1986
[72]
서적
藤山1986
[73]
서적
菊池1996
[74]
서적
池井1997
[75]
서적
藤山1986
[76]
서적
私の履歴書
[77]
서적
池井1997
[78]
서적
池井1997
[79]
서적
池井1997
[80]
서적
菊池2008
[81]
서적
日本の流行歌
早川書房
[82]
문서
藤山はビクターへ復帰することも画策したが、結実しなかった。
[83]
서적
菊池1996
[84]
서적
池井1997
[85]
뉴스
読売新聞
1939-04-28
[86]
뉴스
グルリットのピアノで独唱者・木下保・増永丈夫・関種子・竹本光江らが歌っている写真が掲載
読売新聞
1940-04-14
[87]
간행물
音楽で見る戦後史2 美しき日本の歌-ラジオ歌謡
財団法人音楽文化創造
2008-07
[88]
서적
池井1997
[89]
서적
池井1997
[90]
서적
藤山1986
[91]
서적
藤山1986
[92]
문서
民謡『ブンガワンソロ』は帰国後藤山のレパートリーに加えられ、日本で流行歌となった。
[93]
서적
池井1997
[94]
서적
藤山1986
[95]
문서
滞在中、藤山の待遇は中佐待遇に格上げされた。
[96]
서적
池井1997
[97]
서적
藤山1986
[98]
서적
池井1997
[99]
서적
藤山1986
[100]
서적
池井1997
[101]
서적
私の履歴書
[102]
서적
池井1997
[103]
서적
菊池2008
[104]
서적
藤山1986
[105]
서적
池井1997
[106]
서적
藤山1986
[107]
서적
池井1997
[108]
서적
池井1997
[109]
서적
池井1997
[110]
서적
藤山1986
[111]
서적
池井1997
[112]
서적
藤山1985
[113]
서적
池井1997
[114]
서적
池井1997
[115]
서적
池井1997
[116]
서적
池井1997
[117]
서적
小沢2000
[118]
웹사이트
藤山一郎
https://columbia.jp/[...]
日本コロムビア
2011-08-06
[119]
문서
프로그램용 녹음
[120]
서적
池井1997
[121]
서적
池井1997
[122]
문서
수상자 목록
[123]
서적
池井1997
[124]
서적
藤山1986
[125]
서적
私の履歴書
[126]
문서
라디오 방송 정보
[127]
서적
小沢2000
[128]
서적
小沢2000
[129]
서적
小沢2000
[130]
서적
池井1997
[131]
서적
池井1997
[132]
서적
池井1997
[133]
웹사이트
東京西ロータリークラブのホームページ
http://www.westrotar[...]
[134]
서적
池井1997
[135]
서적
池井1997
[136]
서적
藤山1986
[137]
서적
私の履歴書
[138]
서적
池井1997
[139]
서적
金田一1994
[140]
Youtube
蛍の光 藤山一郎 他
http://www.youtube.c[...]
[141]
서적
金田一1994
[142]
서적
金田一1994
[143]
서적
私の履歴書
[144]
서적
私の履歴書
[145]
웹사이트
矢野顕子さんの世界が詰まった『若い広場』! NHK番組発掘プロジェクト通信
https://www.nhk.or.j[...]
2021-11-09
[146]
문서
1966년 히트곡 '星影のワルツ'
[147]
문서
ブンガワン・ソロ
[148]
방송
おかあさんの顔
1968-12-00 / 1969-01-00
[149]
웹사이트
愉快な仲間 NHK名作選(動画・静止画)
https://www2.nhk.or.[...]
[150]
서적
池井1997
[151]
서적
池井1997
[152]
문서
제5회까지의 홍백가합전 대미를 장식한 가수 기록 미상
[153]
문서
제5회 홍백가합전 대미를 장식한 가수에 대한 두 가지 설
[154]
문서
메들리곡
[155]
문서
만 78세 출연은 홍백가합전 최고령 기록
2014-00-00
[156]
문서
제41회~43회 홍백가합전 호타루노히카리 지휘 담당
1990-00-00 / 1992-00-00
[157]
서적
池井1997
[158]
서적
藤山1986
[159]
서적
池井1997
[160]
서적
現代日本の作曲家5 安部幸明
音楽の世界社
[161]
서적
池井1997
[162]
서적
私の履歴書
[163]
웹사이트
演歌、歌謡曲と西洋音楽
http://www.toshiba.c[...]
2007-07-16
[164]
서적
이 사람 이 노래 - 쇼와의 유행가 100선·유머 비화
고사이도 출판
1996-00-00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